이 글은 『Das Kapital』독일어판을 한국어로 번역한 강 교수(이하 강 교수)의 『자본』과 두 가지 영어 번역판인 Sonnenschein판(이하 SS)과 Penguin Classics의 Ben Fowkes 번역판(자본론 1에 해당, 이하 BF), 그리고 David Fernbach 번역판(자본론 2 및 3에 해당, 이하 DF2DF3로 각각 표기)을 참조했다. 경우에 따라서는 MIA(Marxists Internet Archive)에 있는 독일어 원본(이하 DK)을 참조했다. 여기에 나와 있는 내용은 『자본I-1』 95~102쪽에 해당한다.



제1편 상품과 화폐
제1장 상품
제2절 상품에 나타난 노동의 이중성


처음에는 상품이 우리에게 양면(兩面)적인 것(Zwieschlächtiges, twofold natures), 즉 사용가치와 교환가치로서 나타났다. 그런데 그 다음에는 노동도 그것이 가치로 표현되는 경우 이미 사용가치의 창조자로서의 특징을 지니지 않게 된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1.1] 상품에 포함된 노동의 이러한 이중적 성질을 비판적으로 지적한 것은 내가 처음이다. 12) 이 점은 경제학의 이해에서 결정적인 도약점(跳躍占, Springpunkt)이므로 여기서 좀 더 자세히 설명해둘 필요가 있다.

1.1
(SS) Later on, we saw also that labour, too, possesses the same twofold nature; for, so far as it finds expression in value, it does not possess the same characteristics that belong to it as a creator of use values.
(BF) Later on it was seen that labour, too, has a dual character: in so far as it finds its expression in value, it no longer possesses the same characteristics as when it is the creator of use-values.
(DK) Später zeigte sich, daß auch die Arbeit, soweit sie im Wert ausgedrückt ist, nicht mehr dieselben Merkmale besitzt, die ihr als Erzeugerin von Gebrauchswerten zukommen.
중요해 보이지는 않지만, 강 교수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DK는 없는 '그런데'라는 표현을 번역 과정에서 추가했다. 그리고 영어로 "no longer"에 해당하는 표현인 독일어 "nicht mehr"를 "이미 ... 않다"라고 번역했다. 뉘앙스 차이일 수도 있겠지만, 이 부분을 "더이상 ... 않다"라고 번역하는 것이 좋지 않았겠느냐는 판단이 든다. 더불어 "soweit sie im Wert ausgedrückt ist"를 "노동도 그것이 가치로 표현되는 경우"로 번역했는데, 'soweit'는 영어로 'so far as/in so far as'로 번역할 수 있다. 재번역하면 다음과 같다. "나중에, 노동이 가치로 표현되는 한 더 이상 사용가치의 창조자로서의 특징을 지니지 않게 됨이 드러났다."

2개의 상품, 즉 1벌의 웃옷과 10엘레(Elle: 독일에서 쓰는 길이의 단위. 약 60센티미터에 해당한다—옮긴이)의 아마포를 예로 들어보자. 그리고 전자는 후자에 비해 2배의 가치를 지니고 있다고 하자. 즉 10엘레의 아마포=W라면, 1벌의 웃옷=2W라고 하자.




웃옷은 어떤 특수한 욕망을 충족시키는 사용가치이다. 그것을 생산하려면 특정 종류의 생산활동이 필요하다. 이 활동은 그 목적·작업방식·대상·수단·결과 등에 따라서 규정된다. 이처럼 유용성이 그 생산물의 사용가치로 표현되는 노동[즉 그 생산물이 사용가치로 표현되는 노동]을 우리는 간단히 유용노동(有用勞動, nützliche Arbeit)이라고 한다. [3.1] 이런 관점에서 노동은 항상 그 유용성과 관련되어 고찰된다.

3.1
(SS) The labour, whose utility is thus represented by the value in use of its product, or which manifests itself by making its product a use value, we call useful labour.
(BF) We use the abbreviated expression 'useful labour' for labour whose utility is represented by the use-value of its product, or by the fact that its product is a use-value.
(DK) Die Arbeit, deren Nützlichkeit sich so im Gebrauchswert ihres Produkts oder darin darstellt, daß ihr Produkt ein Gebrauchswert ist, nennen wir kurzweg nützliche Arbeit.
강 교수 번역에 큰 문제는 없다고 생각하지만, 될 수 있으면 독일어 원전에 맞게 번역하는 것이 좋은 것 같다. 예를 들면, 강 교수는 "deren Nützlichkeit sich so im Gebrauchswert ihres Produkts"를 "유용성이 그 생산물의 사용가치로 표현되는"으로 번역했는데, 여기에는 '표현되는'으로 해석할 수 있는 독일어가 없다. 아마도 편의상 의역을 한 것 같다. 하지만 '표현되는 것'과 '존재하는 것'은 의미상 차이가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강 교수는 "darin darstellt, daß ihr Produkt ein Gebrauchswert ist"를 하나로 합쳐도 될 것을 굳이 괄호([]) 안에 따로 적고 있는데, 이는 마르크스가 부연 설명을 한다는 오해의 소지가 있을 수 있다. 또한, 강 교수는 "nennen wir kurzweg nützliche Arbeit"를 "우리는 간단히 유용노동이라고 한다"라고 번역했는데, 독일어 'nennen'에 해당하는 부분을 완전히 번역하지는 않았다. 물론 그렇게 해도 해석에 큰 문제는 없다. 재번역하면 다음과 같다. "이렇게 유용성이 생산물의 사용가치에 있고 또는 그 생산물이 그 안에서 사용가치임을 나타내는 노동을 우리는 간단히 유용노동이라고 부른다."

웃옷과 아마포가 질적으로 다른 사용가치이듯이, 그것들의 현존재(現存在, Dasein)를 매개하는 노동 또한 질적으로 서로 다른 재단노동과 방직노동이다. [4.1] 만약 이들 물품이 질적으로 서로 다른 사용가치가 아니고 따라서 질적으로 서로 다른 유용노동의 생산물이 아니라면, 그것들은 아예 상품으로 서로 만날 수 없을 것이다. 웃옷과 웃옷이 서로 교환되지 않듯이, 사용가치도 동일한 가치가 서로 교환되지는 않는다.

4.1
(SS) As the coat and the linen are two qualitatively different use values, so also are the two forms of labour that produce them, tailoring and weaving.
(BF) As the coat and the linen are qualitatively different use-values, so also are the forms of labour through which their existence is mediated — tailoring and weaving.
(DK) Wie Rock und Leinwand qualitativ verschiedne Gebrauchswerte, so sind die ihr Dasein vermittelnden Arbeiten qualitativ verschieden — Schneiderei und Weberei.
'verschiedne'는 'verschieden(=different)'와 같다.

온갖 다양한 사용가치 또는 상품체들에는 똑같이 온갖 다양한 유용노동이 나타나 있는데 이들은 사회적 분업을 통해서 속(屬)·종(種)·과(科)·아종(亞種)·변종(變種)들로 분류된다. [5.1] 이러한 사회적 분업은 상품생산의 필요조건이다. 그러나 거꾸로 상품생산이 사회적 분업의 필요조건은 아니다. [5.2] 고대 인도의 공동체에서는 사회적 분업이 존재했지만, 생산물이 상품으로 되지 않았다. 또는 좀 더 최근의 예를 든다면, 모든 공장에서 노동은 체계적으로 분할되어 있지만, 이 분할이 각 노동자의 개별 생산물 사이의 교환으로 이어져 있지는 않다. [5.3] 자립적이고 서로 독립해 있는 사회적 노동의 생산물만이 서로 상품으로서 만나게 되는 것이다.

5.1
(SS) To all the different varieties of values in use there correspond as many different kinds of useful labour, classified according to the order, genus, species, and variety to which they belong in the social division of labour.
(BF) The totality of heterogeneous use-values or physical commodities reflects a totality of similarly heterogeneous forms of useful labour, which differ in order, genus, species and variety: in short, a social division of labour.
(DK) In der Gesamtheit der verschiedenartigen Gebrauchswerte oder Warenkörper erscheint eine Gesamtheit ebenso mannigfaltiger, nach Gattung, Art, Familie, Unterart, Varietät verschiedner nützlicher Arbeiten - eine gesellschaftliche Teilung der Arbeit.
'사회적 분업'을 강조하고자 한 마르크스의 의도를 따른다면 다음과 같이 번역할 수 있다. "온갖 다양한 사용가치 또는 상품체에는 마찬가지로 온갖 다양한 유용노동이 속(屬)·종(種)·과(科)·아종(亞種)·변종(變種)으로 따라 나타나는데, 즉 사회적 분업이다."
5.2
(SS) This division of labour is a necessary condition for the production of commodities, but it does not follow, conversely, that the production of commodities is a necessary condition for the division of labour.
(BF) This division of labour is a necessary condition for commodity production, although the converse does not hold; commodity production is not a necessary condition for the social division of labour.
(DK) Sie ist Existenzbedingung der Warenproduktion, obgleich Warenproduktion nicht umgekehrt die Existenzbedingung gesellschaftlicher Arbeitsteilung.
DK의 한 문장을 강 교수는 두 문장으로 나눠 번역했다. "이러한 사회적 분업은 상품생산의 필요조건이지만, 거꾸로 상품생산이 사회적 분업의 필요조건은 아니다."
5.3
(SS) Or, to take an example nearer home, in every factory the labour is divided according to a system, but this division is not brought about by the operatives mutually exchanging their individual products.
(BF) Or, to take an example nearer home, labour is systematically divided in every factory, but the workers do not bring about this division by exchanging their individual products.
(DK) Oder, ein näher liegendes Beispiel, in jeder Fabrik ist die Arbeit systematisch geteilt, aber diese Teilung nicht dadurch vermittelt, daß die Arbeiter ihre individuellen Produkte austauschen.
강 교수는 "dardurch vermittelt"를 '이어져'라고 번역했는데, '일어나지(는)'이라고 번역하는 것이 타당해 보인다. "또는 좀 더 최근의 예를 든다면, 모든 공장에서 노동은 체계적으로 분할되어 있지만, 이 분할이 각 노동자의 개별 생산물 사이의 교환으로 일어나지는 않다."

이리하여 우리는 모든 상품의 사용가치에 일정한 합목적적(合目的的)인 생산활동 또는 유용노동이 들어 있다는 것을 보았다. [6.1] 각각의 사용가치는 그 속에 질적으로 서로 다른 유용노동을 포함하고 있지 않으면 상품으로서 만날 수 없다. [6.2] 생산물이 일반적으로 상품의 형태를 띠는 사회[즉 상품생산자의 사회]에서는 이들 유용노동의 질적인 차이가 자립적인 생산자의 개인사업으로 각기 독립적으로 운영되다가 하나의 복합적인 체계로 [즉 사회적 분업으로] 발전한다. [6.3]

6.1
(SS) To resume, then: In the use value of each commodity there is contained useful labour, i.e., productive activity of a definite kind and exercised with a definite aim.
(BF) To sum up, then: the use-value of every commodity contains useful labour, i.e. productive activity of a definite kind, carried on with a definite aim.
(DK) Man hat also gesehn: in dem Gebrauchswert jeder Ware steckt eine bestimmte zweckmäßig produktive Tätigkeit oder nützliche Arbeit.
강 교수는 'zweckmäßig'를 거의 예외 없이 '합목적적'으로 번역했으며, 영어 번역본에서도 (적어도 내가 확인한 부분에서는) "exercised with a definite aim"으로 번역했다. "이리하여 우리는 모든 상품의 사용가치에 일정한 합목적적 생산활동 또는 유용노동이 들어 있는 것을 봤다."
6.2
(SS) Use values cannot confront each other as commodities, unless the useful labour embodied in them is qualitatively different in each of them.
(BF) Use-values cannot confront each other as commodities unless the useful labour contained in them is qualitatively different in each case.
(DK) Gebrauchswerte können sich nicht als Waren gegenübertreten, wenn nicht qualitativ verschiedne nützliche Arbeiten in ihnen stecken.
6.3
(SS) In a community, the produce of which in general takes the form of commodities, i.e., in a community of commodity producers, this qualitative difference between the useful forms of labour that are carried on independently of individual producers, each on their own account, develops into a complex system, a social division of labour.
(BF) In a society whose products generally assume the form of commodities, i.e. in a society of commodity producers, this qualitative difference between the useful forms of labour which are carried on independently and privately by individual producers develops into a complex system, a social division of labor.
(DK) In einer Gesellschaft, deren Produkte allgemein die Form der Ware annehmen, d.h. in einer Gesellschaft von Warenproduzenten, entwickelt sich dieser qualitative Unterschied der nützlichen Arbeiten, welche unabhängig voneinander als Privatgeschäfte selbständiger Produzenten betrieben werden, zu einem vielgliedrigen System, zu einer gesellschaftlichen Teilung der Arbeit.
앞에서도 언급했지만, 한 문장으로 표현해도 될 것을 굳이 괄호([]) 안에 따로 표기하는 것은 좋지 않다. 재번역하면 다음과 같다. "생산물이 일반적으로 상품 형태를 띠는 사회, 즉 상품생산자 사회에서는 자립적 생산자의 개인사업으로서 각각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이들 유용노동의 질적 차이가 복합적인 체계, 즉 사회적 분업으로 발전한다."

웃옷을 입는 사람이 재단사 자신이건 그의 고객이건 상관없이 언제나 웃옷은 사용가치로 작용한다. [7.1] 마찬가지로 재단노동이 특수한 직업이 되어 사회적 분업의 자립적인 한 부분을 이룬다 해도 웃옷과 그것을 생산하는 노동의 관계는 조금도 달라지지 않는다. [7.2] 웃옷을 입지 않을 수 없는 곳에서는 인간은 누군가가 재단사로 되기 수천 년 전부터 벌써 웃옷을 만들어왔다. [7.3] 그러나 웃옷이나 아마포 등 천연적으로 주어져 있지 않은 모든 소재적 부의 요소의 현존재(現存在)는 늘 특수한 자연소재를 특수한 인간 욕망에 맞추려는 특수한 합목적적 생산활동을 통해 매개되지 않으면 안 되었다. [7.4] 그런 까닭에 사용가치를 낳는 어머니로서 [즉 유용노동으로서] 노동은 그 사회형태가 무엇이든 그것과는 무관하게 인간의 존재조건이며 인간과 자연 사이의 물질대사를 매개하고 그리하여 인간의 생활을 매개하기 위한 영원한 자연필연성(自然必然性, Naturnotwendigkeit)이다. [7.5]

7.1
(SS) Anyhow, whether the coat be worn by the tailor or by his customer, in either case it operates as a use value.
(BF) It is moreover a matter of indifference whether the coat is worn by the tailor or by his customer. In both cases it acts as a use-value.
(DK) Dem Rock ist es übrigens gleichgültig, ob er vom Schneider oder vom Kunden des Schneiders getragen wird. In beiden Fällen wirkt er als Gebrauchswert.
DK의 두 문장을 강 교수와 SS는 한 문장으로 번역했다. 좀 밋밋하기는 하지만 재번역하면 다음과 같다. "웃옷을 재단사가 입든 혹은 손님이 입든 상관없다. 두 가지 경우 모두에서 웃옷은 사용가치로 작용한다."
7.2
(SS) Nor is the relation between the coat and the labour that produced it altered by the circumstance that tailoring may have become a special trade, an independent branch of the social division of labour.
(BF) So, too, the relation between the coat and the labour that produced it is not in itself altered when tailoring becomes a special trade, an independent branche of the social division of labour.
(DK) Ebensowenig ist das Verhältnis zwischen dem Rock und der ihn produzierenden Arbeit an und für sich dadurch verändert, daß die Schneiderei besondre Profession wird, selbständiges Glied der gesellschaftlichen Teilung der Arbeit.
어떤 것이 더 좋은 번역인지 잘 모르겠다. 내가 번역한 것이 독일어/영어 어순에 더 잘 맞는다고 믿고 싶다. "웃옷과 그것을 생산하는 노동의 관계는 재단노동이 사회적 분업의 자립적 한 부분인 특수한 직업이 된다고 해서 달라지지 않는다."
7.3
(SS) Wherever the want of clothing forced them to it, the human race made clothes for thousands of years, without a single man becoming a tailor.
(BF) Men made clothes for thousands of years, under the compulsion of the need for chlothing, without a single man ever becoming a tailor.
(DK) Wo ihn das Kleidungsbedürfnis zwang, hat der Mensch jahrtausendelang geschneidert, bevor aus einem Menschen ein Schneider ward.
"옷옷을 입지 않을 수 없는 곳"에 해당하는 DK 문장 "Wo ihn das Kleidungsbedürfnis zwang"에는 반어적 표현법이 없다. 그리고 강 교수는 'Mensch'를 '사람'으로 번역했는데, '인류'가 적당하다고 보지만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 재번역하면 다음과 같다. "웃옷을 입어야만 하는 곳에서 인류는 누군가 재단사가 되기 수천 년 전에 웃옷을 만들었다."
7.4
(SS) But coats and linen, like every other element of material wealth that is not the spontaneous produce of Nature, must invariably owe their existence to a special productive activity, exercised with a definite aim, an activity that appropriates particular nature-given materials to particular human wants.
(BF) But the existence of coats, of linen, of every element of material wealth not provided in advance by nature, had always to be mediated through a specific productive activity appropriate to its purpose, a productive activity that assimilated particular natural materials to particular human requirements.
(DK) Aber das Dasein von Rock, Leinwand, jedem nicht von Natur vorhandnen Element des stofflichen Reichtums, mußte immer vermittelt sein durch eine spezielle, zweckmäßig produktive Tätigkeit, die besondere Naturstoffe besondren menschlichen Bedürfnissen assimiliert.
"... mußte immer vermittelt ...."를 "... 않으면 안 되었다"고 표현할 이유가 없는데도, 강 교수는 그렇게 번역했다. 재번역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웃옷, 아마포 등 자연적으로 주어지지 않은 모든 소재적 부의 요소의 존재는 늘 특수한 자연소재를 특수한 인간 욕망에 맞추려는 특수한 합목적적 생산활동을 통해 매개 되어야만 한다."
7.5
(SS) So far therefore as labour is a creator of use value, is useful labour, it is a necessary condition, independent of all forms of society, for the existence of the human race; it is an eternal nature-imposed necessity, without which there can be no material exchanges between man and Nature, and therefore no life.
(BF) Labour, then, as the creator of use-values, as useful labour, is a condition of human existence which is independent of all forms of society; it is an eternal natural necessity which mediates the metabolism between man and nature, and therefore human life itself.
(DK) Als Bildnerin von Gebrauchswerten, als nützliche Arbeit, ist die Arbeit daher eine von allen Gesellschaftsformen unabhängige Existenzbedingung des Menschen, ewige Naturnotwendigkeit, um den Stoffwechsel zwischen Mensch und Natur, also das menschliche Leben zu vermitteln.
강 교수는 'Bildnerin'을 (대자연 어머니 즉, 가이아를 가리키는) '어머니'로 번역했으며, SS와 DK는 'creator', 즉 '창조자'로 번역했다. 그리고 "von allen Gesellschaftsformen unabhängige"을 "그 사회형태가 무엇이든 그것과는 무관하게"라고 아주 길게 번역했다. 이것 말고도 짚을 게 더 있지만, 그냥 재번역하자. "그러므로 사용가치의 창조자로서, 즉 유용노동으로서 노동은 모든 사회형태와 무관한 인간의 존재조건이며, 인간과 자연 사이의 물질대사, 즉 인간생활을 매개하는 영원한 자연필연성이다."

사용가치인 웃옷이나 아마포 등의 상품체들은 자연소재와 노동이라는 두 요소의 결합물이다. 웃옷이나 아마포 등에서 그 속에 들어 있는 모든 유용노동을 모조리 제거해버리면 거기에는 언제나 인간의 도움 없이 천연적으로 존재하는 어떤 물적 기초만이 남는다. [8.1] 생산과정에서 인간이 할 수 있는 것은 오로지 자연 그 자체의 방식에 따르는 것뿐이다. 다시 말해서 인간은 단지 소재의 형태를 바꿀 수 있을 뿐이다. 13) [8.2] 뿐만 아니라 이 형태를 변경하는 노동 그 자체에서도 인간은 끊임없이 자연력으로부터 도움을 받는다. 따라서 노동이 그것을 통해 생산되는 사용가치나 소재적 부의 유일한 원천은 아니다. 윌리엄 페티(William Petty)가 말했듯이, 노동은 소재적 부의 아버지이고 땅은 그 어머니이다. [8.3]

8.1
(SS) If we take away the useful labour expended upon them, a material substratum is always left, which is furnished by Nature without the help of man.
(BF) If we subtract the total amount of useful labour of different kinds which is contained in the coat, the linen, etc., a material substratum is always left.
(DK) Zieht man die Gesamtsumme aller verschiednen nützlichen Arbeiten ab, die in Rock, Leinwand usw. stecken, so bleibt stets ein materielles Substrat zurück, das ohne Zutun des Menschen von Natur vorhanden ist.
간결하게 번역하자. "웃옷, 아마포 등에 들어 있는 모든 유용노동을 모조리 제거하면, 그 뒤에는 언제나 인간의 도움 없이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어떤 물적 기초만이 남는다."
8.2
(SS) The latter can work only as Nature does, that is by changing the form of matter.
(BF) When man engages in production, he can only proceed as nature does herself, i.e. he can only change the form of the materials.
(DK) Der Mensch kann in seiner Produktion nur verfahren, wie die Natur selbst, d.h. nur die Formen der Stoffe ändern.
강 교수는 DK의 한 문장을 두 문장으로 나눠 번역했다. 직역하면 다음과 같다. "인간은 단지 생산과정에서 자연 그 자체를 따라서 할 수밖에 없는데 즉, 소재 형태를 바꾸는 것뿐이다."
8.3
윌리엄 페티의 원문은 다음과 같다. "Labour is the father of material wealth, the earth is its mother." 『A treatise of Taxes and Contributions』, published anonymously by William Petty, London, 1667, p. 47.

여기서 이제 사용대상으로서의 상품에서 가치로서의 상품으로 넘어가 보자.

우리의 가정에 따르면 웃옷은 아마포에 견주어 2배의 가치를 갖고 있다. 그러나 그것은 그저 양적인 차이일 뿐이며, 그 차이는 아직 우리의 당면한 관심사가 아니다. 그래서 우리는 만일 1벌의 웃옷이 지니는 가치가 10엘레의 아마포가 지니는 가치의 2배라면 20엘레의 아마포가 1벌의 웃옷과 같은 가치크기를 지닌다고 생각한다. 가치로서의 웃옷과 아마포는 모두 동일한 실체를 지닌 물품이고, 동일한 노동의 객관적 표현이다. 그러나 재단노동(裁斷勞動)과 방직노동(紡織勞動)은 질적으로 다른 노동이다. 물론 동일한 사람이 번갈아가며 재단도 하고 아마포도 짜는 사회상태도 있다. 이러한 사회상태에서 이 두 가지 서로 다른 노동방식은 다만 한 개인의 노동의 변형일 뿐이며 아직 서로 다른 두 개인의 특수하고 고정된 기능이 된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것은 마치 한 재단공이 오늘 만드는 웃옷과 내일 만드는 바지를 동일한 개인노동의 변형으로 간주하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9.1] 또 우리가 금방 눈으로도 확인할 수 있듯이, 우리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노동 수요의 방향이 바뀌는 데 따라서 인간노동의 일정 부분이 어떤 때는 재단노동이라는 형태로, 어떤 때는 방직노동이라는 형태로 번갈아가며 공급된다. [9.2] 물론 이와 같은 노동의 형태 변화가 아무런 마찰 없이 진행될 수는 없겠지만, 그것은 어쨌든 그렇게 될 수밖에 없다. [9.3] 이 생산활동의 규정성(Bestimmtheit), 즉 노동의 유용한 성격을 무시한다면, 생산활동에서 남는 것은 그것이 인간노동력의 지출이라는 점뿐이다. [9.4] 재단노동과 방직노동은 질적으로 서로 다른 생산활동이긴 하지만 모두 인간의 두뇌·근육·신경·손 등의 생산적 지출이고, 이러한 의미에서 양자는 모두 인간노동이다. 이것들은 다만 인간노동력을 지출하는 2개의 서로 다른 형태일 뿐이다. 물론 여러 가지 형태로 노동력이 지출되려면 인간노동력 그 자체가 어느 정도 발달해 있어야만 한다. 그러나 상품의 가치는 단지 인간노동을, 즉 인간노동 일반의 지출만을 나타낸다. 부르주아 사회에서 장군이나 은행가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데 반해 그냥 인간은 매우 평범한 역할만을 하는데 (장군이나 은행가 같은 직위를 얻으면 인간은 중요해지지만, 직위에서 떠난 그냥의 인간은 그렇지 않다는 의미로, 여기에서 지위는 특수한 유용적 노동의 성격을, 직위가 없는 단순한 인간은 인간노동 일반을 뜻하는 것으로 비유되고 있다. 직위는 아무나 가질 수 없지만[특수], 인간은 누구나가 똑같이 인간이다[일반]. —옮긴이) 14) 인간노동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9.5] 인간노동 일반이란 특별하게 발달하지 않은 보통사람이 누구나 평균적으로 자신의 육체 속에 갖고 있는 단순한 노동력의 지출이다. [9.6] 물론 단순한 평균노동(平均勞動, einfache Durchschnittsarbeit)도 나라가 다르고 문화수준이 다르면 그 성격이 달라진다. 그러나 현존하는 어떤 사회에서 그것은 일정한 것이다. [9.7] 복잡노동(複雜勞動, kompliziertere Arbeit)은 그저 단순노동(單純勞動, einfache Arbeit)이 제곱된 것 또는 배가된 것으로 간주될 뿐이다. 따라서 적은 양의 복잡노동은 더 많은 양의 단순노동과 같다. [9.8] 실제로 이런 환산이 끊임없이 이루어지는 것을 우리는 경험을 통해서 보고 있다. [9.9] 어떤 상품이 아무리 복잡한 노동의 생산물이라 해도 그 상품의 가치는 그 상품을 단순노동의 생산물과 동일하게 등치시키고, 따라서 그 가치 자체는 단순노동의 일정한 양을 나타낼 뿐이다. 15) 갖가지 노동을 그 도량단위인 단순노동으로 환산해내는 여러 비율은 사회적 과정을 통해서 생산자들의 배후에서 결정된다. 따라서 생산자들에게는 그것이 관습에 의해 주어지는 것처럼 보인다. [9.10] 지금부터는 모든 종류의 노동력을 곧바로 단순노동력으로 간주하겠는데, 이것은 환산하는 수고를 덜기 위해서일 뿐이다. [9.11]

9.1
(SS) There are, however, states of society in which one and the same man does tailoring and weaving alternately, in which case these two forms of labour are mere modifications of the labour of the same individual, and not special and fixed functions of different persons, just as the coat which our tailor makes one day, and the trousers which he makes another day, imply only a variation in the labour of one and the same individual.
(BF) There are, however, states of society in which the same man alternately makes clothes and weaves. In this case, these two different modes of labour are only modifications of the labour of the same individual and not yet fixed functions peculiar to different individuals, just as the coat our tailor makes today, and the pair of trousers he makes tomorrow, require him only to vary his own individual labour.
(DK) Es gibt jedoch Gesellschaftszustände, worin derselbe Mensch abwechselnd schneidert und webt, diese beiden verschiednen Arbeitsweisen daher nur Modifikationen der Arbeit desselben Individuums und noch nicht besondre feste Funktionen verschiedner Individuen sind, ganz wie der Rock, den unser Schneider heute, und die Hosen, die er morgen macht, nur Variationen derselben individuellen Arbeit voraussetzen.
DK의 한 문장을 강 교수는 세 문장으로, BF는 두 문장으로 나눴다. 강 교수는 영어로 'however'을 뜻하는 독일어 'jedoch'를 '물론'이라고 번역했으며 영어로 'therefore' 혹은 'thus'에 해당하는 'daher'는 번역하지 않았다. "diese beiden verschiednen Arbeitsweisen"은 "이 두 가지 서로 다른 노동방식"으로 번역했는데, 직역하면 "이런 다양한 노동방식"이지만 문제 될 것은 없어 보인다. 마찬가지로 "verschiedner Individuen"을 "서로 다른 두 개인"이라 번역한 것도 문제는 없어 보인다. 강 교수는 영어로 'require'을 뜻하는 'voraussetzen'을 '간주하는'으로 번역했는데 이것은 오역이다. "필요로 하는"으로 번역해야 한다. 재번역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같은 사람이 번갈아가며 재단도 하고 아마포도 짜는 사회상태가 있고, 따라서 이런 다양한 노동방식은 다만 한 개인의 노동이 변하는 것일 뿐이며 아직은 서로 다른 개인에게 특수하고 고정된 기능은 아닌데, 마치 우리의 재단공이 오늘 만드는 웃옷과 내일 만드는 바지가 단지 개인노동의 변형을 필요로 하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9.2
(SS) Moreover, we see at a glance that, in our capitalist society, a given portion of human labour is, in accordance with the varying demand, at one time supplied in the form of tailoring, at another in the form of weaving.
(BF) Moreover, we can see at a glance that in our capitalist society a given portion of labour is supplied alternatively in the form of tailoring and in the form of weaving, in accordance with changes in the direction of the demand for labour.
(DK) Der Augenschein lehrt ferner, daß in unsrer kapitalistischen Gesellschaft, je nach der wechselnden Richtung der Arbeitsnachfrage, eine gegebene Portion menschlicher Arbeit abwechselnd in der Form von Schneiderei oder in der Form von Weberei zugeführt wird.
DK의 "Der Augenschein lehrt ferner, ..."을 영어 번역본은 "Moreover, we (can) see at a glance that ..."으로 표현했고, 강 교수는 "또 우리가 금방 눈으로 확인할 수 있듯이, ..."로 나타냈다. 이것을 구글 번역기로 분석하면 "The inspection further teaches that ..."인데, 독일어로 직역하면 "또한 면밀한 조사를 통해 ... 알 수 있다 / 또한 면밀한 조사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 정도로 표현할 수 있지만, 이 부분에 대해서는 판단이 잘 안 선다. 이것도 맞는 것 같고 저것도 맞는 것 같다. 어쨌든 재번역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면밀한 조사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우리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노동 수요의 방향이 바뀌는 데 따라서 인간노동의 일정 부분이 재단노동의 형태 또는 방직노동의 형태로 번갈아가며 공급된다는 사실이다."
9.3
(SS) This change may possibly not take place without friction, but take place it must. // Productive activity, if we leave out of sight its special form, …
(BF) This change in the form of labour may well not take place without friction, but it must take place. // If we leave aside the determinate quality of productive activity, …
(DK) Dieser Formwechsel der Arbeit mag nicht ohne Friktion abgehn, aber er muß gehn. Sieht man ab von der Bestimmtheit der produktiven Tätigkeit und daher vom nützlichen Charakter der Arbeit, ...
SS와 BF는 이 부분에서 단락을 나눴지만, DK와 강 교수 번역은 단락을 나누지 않았다. '//'이 SS와 BF에서 임의로 단락을 나눈 부분이다.
9.4
(SS) Productive activity, if we leave out of sight its special form, viz., the useful character of the labour, is nothing but the expenditure of human labour power.
(BF) If we leave aside the determinate quality of productive activity, and therefore the useful character of the labour, what remain is its quality of being an expenditure of human labour-power.
(DK) Sieht man ab von der Bestimmtheit der produktiven Tätigkeit und daher vom nützlichen Charakter der Arbeit, so bleibt das an ihr, daß sie eine Verausgabung menschlicher Arbeitskraft ist.
"... 점뿐이다"라고 번역해도 상관없지만, 굳이 이렇게 번역할 필요는 없을 것 같다.
9.5
(SS) And just as in society, a general or a banker plays a great part, but mere man, on the other hand, a very shabby part, so here with mere human labour.
(BF) And just as, in civil society, a general or a banker plays a great part but man as such plays a very mean part, so, here too, the same is true of human labour.
(DK) Wie nun in der bürgerlichen Gesellschaft ein General oder Bankier eine große, der Mensch schlechthin dagegen eine sehr schäbige Rolle spielt, so steht es auch hier mit der menschlichen Arbeit.
강 교수의 <역자 주>가 맞는지 확인하기 위해 해당 구절을 Sonnenschein 판에서 먼저 확인했으나, MIA는 엉뚱한 부분을 링크로 걸어놓았다(MIA가 링크로 연결해 놓은 헤겔 『법철학』 구절은 제244절에 해당한다) [링크]. 마르크스가 참조한 구절을 가리키는 제대로 된 링크는 다음과 같다 [링크]. 더불어, 헤겔 『법철학』 원본의 250쪽에 있는 제190절을 번역했다.

a. Die Art des Bedürfnisses und der Befriedigung

Das Tier hat einen beschränkten Kreis von Mitteln und Weisen der Befriedigung seiner gleichfalls beschränkten Bedürfnisse. Der Mensch beweist auch in dieser Abhängigkeit zugleich sein Hinausgehen über dieselbe und seine Allgemeinheit, zunächst durch die Vervielfältigung der Bedürfnisse und Mittel und dann durch Zerlegung und Unterscheidung des konkreten Bedürfnisses in einzelne Teile und Seiten, welche verschiedene partikularisierte, damit abstraktere Bedürfnisse werden.

Im Rechte ist der Gegenstand die Person, im moralischen Standpunkt das Subjekt, in der Familie das Familienglied, in der bürgerlichen Gesellschaft überhaupt der Bürger (als bourgeois) – hier auf dem Standpunkte der Bedürfnisse (vgl. § 123 Anm.) ist es das Konkretum der Vorstellung, das man Mensch nennt; es ist also erst hier und auch eigentlich nur hier vom Menschen in diesem Sinne die Rede.

a. 욕구와 충족의 양식

동물은 제한된 욕구(Bedürfnisse)를 충족(Befriedigung)하기 위한 동일하게 제한된 방법(Weise)과 수단(Mittel)을 가지고 있다. 인간 역시 이러한 의존성(Abhängigkeit)에 놓여 있음에도 이것에 대한 초탈(Hinausgehen über dieselbe)과 그것[초탈]의 보편성(Allgemeinheit)을 동시에 나타내는데, 첫째, 욕구와 수단의 배가(Vervielfältigung)를 통해서, 그다음에는 구체적 욕구를 다양하게 특화해 추상화한 개개의 부분과 측면으로 세분화(Zerlegung und Unterscheidung)해서 나타낸다.

[추상]법에서 대상(Gegenstand)은 인격(Person)이고, 도덕적 입장에서는 주체(Subjekt)이며 가족에서는 가족 구성원(Familienglied)이며 부르주아 사회(bürgerlichen Gesellschaft) 일반에서는 시민(Bürger)(또는 부르주아)이다—여기서 욕구의 관점으로 바라봤을 때(§123 주해 참조) 그것[대상]은 인간이라 불리는 표상(Vorstellung)의 구체화(Konkretum)이다. 그러므로 여기에서 인간을 언급하는 것은 처음이며 또한 실제로 여기에서는 적절하게 유일한 때이다.

참고로 BF에는 다음과 같이 부연 설명이 있다.

Hegel says here: 'In civil society as a whole, at the standpoint of needs, what we have before us is the composite idea which we call man. Thus this is the first time, and indeed the only time, to speak of man in this sense' (Hegel's Philosophy of Rght, tr. T. M. Knox, Oxford, 1952, p. 127).
9.6
(SS) It is the expenditure of simple labour power, i.e., of the labour power which, on an average, apart from any special development, exists in the organism of every ordinary individual.
(BF) It is the expenditure of simple labour-power, i.e. of the labour-power possessed in his bodily organism by every ordinary man, on the average, without being developed in any special way.
(DK) Sie ist Verausgabung einfacher Arbeitskraft, die im Durchschnitt jeder gewöhnliche Mensch, ohne besondere Entwicklung, in seinem leiblichen Organismus besitzt.
DK에서는 "단순 노동력 지출"을 강조하고 있다. "특별히 발달하지 않은 보통사람이 자기 육체 안에 평균적으로 가진 것이 바로 단순 노동력 지출이다."
9.7
(SS) Simple average labour, it is true, varies in character in different countries and at different times, but in a particular society it is given.
(BF) Simple average labour, it is true, varies in character in different countries and at different cultural epoches, but in a particular society it is given.
(DK) Die einfache Durchschnittsarbeit selbst wechselt zwar in verschiednen Ländern und Kulturepochen ihren Charakter, ist aber in einer vorhandnen Gesellschaft gegeben.
강 교수는 DK의 한 문장을 두 문장으로 나눠 번역했다. 강 교수는 'Kulturepoche'를 '문화수준'으로 번역했지만, 문맥상 마르크스는 "어떤 사회에서 시대[혹은 시간]에 따른 문화의 발전"을 말하고 있다. 그리고 "ist ... in einer vorhandnen Gesellschaft gegeben"에 대해서도 SS와 BF는 "in particular society it is given"이라 번역했는데, 강 교수는 "그러나 현존하는 어떤 사회에서 그것은 일정한 것이다"라고 번역했다. "... 알려졌다/주어졌다"라고 번역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여기서 하나 헷갈리는 것은 자본론 전체에서 'vorhandnen'이 계속 나오는데, 독일어 사전에서 이와 유사한 단어는 오직 'vorhanden'으로 영어로는 'existing'을 뜻한다. 그런데 독일어 유의어 사전을 찾아보면 'vorhandnen'과 유사한 뜻으로 'von allem', 영어로는 'particularly‘라는 단어를 찾아준다 [링크]. 어떤 해석이 정확한지는 잘 모르겠는데, 그냥 영어 번역[SS와 BF 모두 'particular'로 번역했다]을 따르기로 한다. 재번역하면 다음과 같다. "단순 평균노동 그 자체도 나라가 다르고 [같은 나라에서도] 문화수준[혹은 문화의 시대]이 다르면 그 성격은 변하지만, 특정 사회에서는 알려졌다."
9.8
(SS) Skilled labour counts only as simple labour intensified, or rather, as multiplied simple labour, a given quantity of skilled being considered equal to a greater quantity of simple labour.
(BF) More complex labour counts only as intensified, or rather multiplied simple labour, so that a smaller quantity of complex labour s considered equal to a larger quantity of simple labour.
(DK) Kompliziertere Arbeit gilt nur als potenzierte oder vielmehr multiplizierte einfache Arbeit, so daß ein kleineres Quantum komplizierter Arbeit gleich einem größeren Quantum einfacher Arbeit.
DK의 한 문장을 강 교수는 두 문장으로 나눠 번역했다. 강 교수는 'als'와 'vielmehr'의 뜻이 같다고 보고 하나로 합쳐서 번역했지만, 따로 번역하는 것도 좋을 듯하다. "복잡노동은 단지 제곱 되거나 혹은 그저 배가된 단순노동으로 간주될 뿐이므로, 적은 양의 복잡노동은 더 많은 양의 단순노동과 같다."
9.9
(SS) Experience shows that this reduction is constantly being made.
(BF) Experience shows that this reduction is constantly being made.
(DK) Daß diese Reduktion beständig vorgeht, zeigt die Erfahrung.
강 교수의 한국어 번역은 이상하다. "경험을 통해서 보는 것"이 아니라 "경험으로 아는 것"이 올바른 어법이다. 그리고 '실제로'란 표현도 독일어 문장 안에는 없다. 재번역하면 다음과 같다. "이런 환산이 끊임없이 일어나는 것을 우리는 경험으로 알고 있다"
9.10
(SS) The different proportions in which different sorts of labour are reduced to unskilled labour as their standard, are established by a social process that goes on behind the backs of the producers, and, consequently, appear to be fixed by custom.
(BF) The various proportions in which different kinds of labour are reduced to simple labour as their unit of measurement are established by a social process that goes on behind the backs of the producers; these proportions therefore appear to the producers to have been handed down by tradition.
(DK) Die verschiednen Proportionen, worin verschiedne Arbeitsarten auf einfache Arbeit als ihre Maßeinheit reduziert sind, werden durch einen gesellschaftlichen Prozeß hinter dem Rücken der Produzenten festgesetzt und scheinen ihnen daher durch das Herkommen gegeben.
DK의 한 문장을 강 교수는 두 문장으로 나눠 번역했다. 그리고 "scheinen ... gegeben"은 영어로 "seem to be given"와 비슷한 뜻이다. 재번역하면 다음과 같다. "갖가지 노동을 그 도량단위인 단순노동으로 환산하는 다른[여러 가지] 비율은 생산자의 배후에서 사회적 과정으로 결정되므로, 이것은 생산자에게 관습으로 주어지는 것처럼 보인다."
9.11
(SS) For simplicity’s sake we shall henceforth account every kind of labour to be unskilled, simple labour; by this we do no more than save ourselves the trouble of making the reduction.
(BF) In the interests of simplification, we shall henceforce view every form of labour-power, directly as simple labour-power; by this we shall simply be saving ourselves the trouble making the reduction.
(DK) Der Vereinfachung halber gilt uns im Folgenden jede Art Arbeitskraft unmittelbar für einfache Arbeitskraft, wodurch nur die Mühe der Reduktion erspart wird.
별로 중요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강 교수는 이 부분을 너무 성의 없이 번역한 것 같다. "명료함을 위해 앞으로는 갖가지 노동력을 곧바로 단순노동력으로 간주할 텐데, 이는 단순히 환산의 수고를 덜기 위해서일 뿐이다."

이리하여 가치로서의 웃옷과 아마포에서는 그 사용가치의 차이가 배제되듯이 이러한 가치로 표현되는 노동에서도 그 유용형태의 차이, 즉 재단노동과 방직노동의 차이는 배제된다. [10.1] 사용가치로서의 웃옷과 아마포는 목적이 정해진 생산활동과 직물 및 실 사이의 결합물이다. 반면 가치로서의 웃옷과 아마포는 단지 동질의 노동이 응결된 것일 뿐이며, 또한 그것들의 가치에 포함되어 있는 노동도 마찬가지로 직물이나 실에 대한 생산적 행동이 아니라 오로지 인간노동력의 지출로서만 간주된다. [10.2] 재단노동과 방직노동이 사용가치로서의 웃옷이나 아마포의 형성요소(形成要素, Bilsungselemente)가 되는 것은 재단노동과 방직노동의 질(質)이 서로 다른 데 근거한 것이다. 반면 재단노동과 방직노동이 웃옷과 아마포 가치의 실체가 되는 것은 오로지 재단노동과 방직노동의 특수한 질이 배제되어 양자가 동일한 질, 곧 인간노동이라는 질을 지니고 있다는 데 근거한 것이다. [10.3]

10.1
(SS) Just as, therefore, in viewing the coat and linen as values, we abstract from their different use values, so it is with the labour represented by those values: we disregard the difference between its useful forms, weaving and tailoring.
(BF) Just as, in viewing the coat and the linen as values, we abstract from their different use-values, so, in the case of the labour represented by those values, do we disregard the difference between its useful values, tailoring and weaving.
(DK) Wie also in den Werten Rock und Leinwand von dem Unterschied ihrer Gebrauchswerte abstrahiert ist, so in den Arbeiten, die sich in diesen Werten darstellen, von dem Unterschied ihrer nützlichen Formen, der Schneiderei und Weberei.
재번역하면 다음과 같다. "가치로서 웃옷과 아마포에서 그 사용가치의 차이가 배제되듯이, 이러한 가치로 대변되는 노동에서도 그 유용형태의 차이, 즉 재단노동과 방직노동의 차이는 배제된다."
10.2
(SS) As the use values, coat and linen, are combinations of special productive activities with cloth and yarn, while the values, coat and linen, are, on the other hand, mere homogeneous congelations of undifferentiated labour, so the labour embodied in these latter values does not count by virtue of its productive relation to cloth and yarn, but only as being expenditure of human labour power.
(BF) The use-values coat and linen are combinations of, and, on the other, productive activity with a definite purpose, and, on the other, cloth and yarn; the values coat and linen, however, are merely congealed quantities of homogenous labour. In the same way, the labour contained in these values does not count by virtue of its productive relation to cloth and yarn, but only as being expenditure of human labor-power.
(DK) Wie die Gebrauchswerte Rock und Leinwand Verbindungen zweckbestimmter, produktiver Tätigkeiten mit Tuch und Garn sind, die Werte Rock und Leinwand dagegen bloße gleichartige Arbeitsgallerten, so gelten auch die in diesen Werten enthaltenen Arbeiten nicht durch ihr produktives Verhalten zu Tuch und Garn, sondern nur als Verausgabungen menschlicher Arbeitskraft.
DK의 한 문장을 BF와 강 교수는 다른 방식으로 두 문장으로 나눴다. 예를 들면 BF는 "... merely congealed quantities of homogenous labour. In the same way, …"로 문장을 나눠 번역했으며, 강 교수는 "… 직물 및 실 사이의 결합물이다. 반면 가치로서의 웃옷과 아마포는 …"으로 문장을 나눠 번역했다.
10.3
(SS) Tailoring and weaving are necessary factors in the creation of the use values, coat and linen, precisely because these two kinds of labour are of different qualities; but only in so far as abstraction is made from their special qualities, only in so far as both possess the same quality of being human labour, do tailoring and weaving form the substance of the values of the same articles.
(BF) Tailoring and weaving are the formative elements in the use-values coat and linen, precisely because these two kinds of labour are of different qualities; but only in so far as abstraction is made from their particular qualities, only in so far as both possess the same quantity of being human labour, do tailoring and weaving form the substance of the values of the two articles mentioned.
(DK) Bildungselemente der Gebrauchswerte Rock und Leinwand sind Schneiderei und Weberei eben durch ihre verschiednen Qualitäten; Substanz des Rockwerts und Leinwandwerts sind sie nur, soweit von ihrer besondren Qualität abstrahiert und beide gleiche Qualität besitzen, die Qualität menschlicher Arbeit.
강 교수는 DK의 한 문장을 두 문장으로 나눠 번역했다.

그러나 웃옷과 아마포는 가치 일반이기도 하지만 일정한 크기를 갖는 가치이기도 하다. 또한, 우리의 가정에 따르면 웃옷 1벌은 10엘레의 아마포에 비해 2배의 가치가 있다. [11.1] 이들의 이러한 가치크기의 차이는 어디에서 비롯되는가? 그것은 아마포는 웃옷에 비하여 절반의 노동밖에 들어 있지 않으며, 따라서 웃옷의 생산에는 아마포의 생산에 비하여 2배의 시간 동안 노동력이 지출되어야 한다는 데서 비롯된다.

11.1
(SS) Coats and linen, however, are not merely values, but values of definite magnitude, and according to our assumption, the coat is worth twice as much as the ten yards of linen.
(BF) Coat and linen, however, are not merely values in general, but values of definite magnitude, and, following our assumption, the coat is worth twice as much as the 10 yards of linen.
(DK) Rock und Leinwand sind aber nicht nur Werte überhaupt, sondern Werte von bestimmter Größe, und nach unsrer Unterstellung ist der Rock doppelt soviel wert als 10 Ellen Leinwand.
강 교수는 DK의 한 문장을 두 문장으로 나눠 번역했다. 재번역하면 다음과 같다. "웃옷과 아마포는 가치 일반일 뿐만 아니라 일정한 크기를 가진 가치이며, 우리의 가정에 따르면 웃옷 1벌은 10엘레의 아마포에 비해 2배의 가치가 있다."

요컨대 상품에 들어 있는 노동은 사용가치와 관련해서는 질적인 의미만 인정되지만, 가치크기와 관련해서는 이미 다른 어떠한 질도 지니고 있지 않은 인간노동으로 환원되어 양적인 의미만 인정된다. 전자의 경우에는 노동의 방법과 내용(Wie und Was)이 문제가 되지만, 후자의 경우에는 양(Wieviel), 즉 시간의 길이가 문제가 된다. 한 상품의 가치크기는 그 상품에 들어 있는 노동량만을 나타내기 때문에, 상품들은 일정한 비율 아래에서는 늘 같은 크기의 가치이어야 한다.




가령 웃옷 1벌의 생산에 필요한 모든 유용노동의 생산력이 변하지 않는다면 웃옷의 가치크기는 웃옷의 양이 늘어남에 따라 커진다. 만약 1벌의 웃옷이 x노동일(Arbeitstag)을 나타낸다면 2벌은 2x의 노동일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런데 웃옷 1벌의 생산에 필요한 노동이 2배로 늘어나거나 반으로 줄어드는 경우를 보자. 앞의 경우에는 1벌의 웃옷이 이전의 2벌과 같은 크기의 가치를 가지며, 뒤의 경우에는 2벌이 이전의 1벌과 같은 크기의 가치밖에 갖지 못한다. 그러나 어느 경우건 웃옷은 변함없이 똑같은 유용성이 있고 웃옷에 들어 있는 유용노동의 질도 변함없이 그대로이다. [13.1] 단지 웃옷의 생산에 지출된 노동량은 변하였다.

13.1
(SS) In the first case one coat is worth as much as two coats were before; in the second case, two coats are only worth as much as one was before, although in both cases one coat renders the same service as before, and the useful labour embodied in it remains of the same quality.
(BF) In the first case, one coat is worth as much as two coats were before; in the second case two coats are only worth as much as one was before, although in both cases one coat performs the same service, and the useful labour contained in it remains of the same quality.
(DK) Im ersten Fall hat ein Rock soviel Wert als vorher zwei Röcke, im letztern Fall haben zwei Röcke nur soviel Wert als vorher einer, obgleich in beiden Fällen ein Rock nach wie vor dieselben Dienste leistet und die in ihm enthaltene nützliche Arbeit nach wie vor von derselben Güte bleibt.
강 교수는 DK의 한 문장을 두 문장으로 나눠 번역했다.

더 많은 양의 사용가치는 그 자체로 더 많은 소재적 부를 이룬다. 2벌의 웃옷은 1벌보다 큰 소재적 부이다. 2벌은 두 사람이 입을 수 있지만 1벌은 한 사람밖에 입을 수 없는 것이다. 그런데 소재적 부의 양이 증가하는데도 그 가치크기는 그에 상응하여 오히려 감소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같은 상반된 변화는 노동의 이중적 성격(zwieschlächtigen Charakter der Arbeit)에서 비롯된다. 생산력은 물론 언제나 구체적이고 유용한 노동의 생산력이고, 사실상 주어진 시간 안에서의 합목적적 생산활동의 작용 정도만을 규정한다. [14.1] 그런 까닭에 유용노동은 생산력의 상승 또는 저하에 비례하여 더욱 풍부한 또는 더욱 빈약한 생산물의 원천이 된다. [14.2] 반면 생산력의 변동은 가치로 표현되는 노동 그 자체에는 조금도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생산력은 노동의 구체적 유용형태에 속하므로 노동에서 구체적인 유용형태가 제거되어버리고 나면 이미 노동에 더 이상 영향을 미칠 수 없게 된다. [14.3] 그래서 동일한 노동은 생산력이 아무리 변해도 같은 시간 동안에는 늘 같은 크기를 산출한다. 그러나 이 노동은 같은 시간 동안에 서로 다른 양의 사용가치를 산출한다. 즉 생산력이 높아지면 좀 더 많은 사용가치를 산출하고 생산력이 낮아지면 좀 더 적은 사용가치를 산출한다. [14.4] 그러므로 노동의 산출능력을 증대시키고 따라서 노동에 의해 제공되는 사용가치의 양을 증대시키는 생산력의 변동 바로 그것이 이 증대된 사용가치 총량의 생산에 필요한 노동시간의 총계를 단축시킬 때는 이 증대된 사용가치 총량의 가치크기는 감소한다. 그 역의 경우에는 반대가 된다. [14.5]

14.1
(SS) Productive power has reference, of course, only to labour of some useful concrete form, the efficacy of any special productive activity during a given time being dependent on its productiveness.
(BF) By 'productivity‘ of course, we always mean the productivity of concrete useful labour; in realty this determines only the degree of effectiveness of productive activity directed towards a given purpose within a given period of time.
(DK) Produktivkraft ist natürlich stets Produktivkraft nützlicher, konkreter Arbeit und bestimmt in der Tat nur den Wirkungsgrad zweckmäßiger produktiver Tätigkeit in gegebnem Zeitraum.
강 교수는 "den Wirkungsgrad zweckmäßiger produktiver Tätigkeit"을 "합목적적 생산활동의 작용 정도"라고 번역했는데 'Wirkungsgrad'는 영어로 '(degree of) effectiveness'를 뜻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번역해야 한다. "합목적적 생산활동의 유효성 정도"
14.2
(SS) Useful labour becomes, therefore, a more or less abundant source of products, in proportion to the rise or fall of its productiveness.
(BF) Useful labour becomes, therefore, a more or less abundant source of products in direct proportion as its productivity rises or falls.
(DK) Die nützliche Arbeit wird daher reichere oder dürftigere Produktenquelle im direkten Verhältnis zum Steigen oder Fallen ihrer Produktivkraft.
강 교수와 SS는 'direckten'을 번역하지 않았다. "그런 까닭에 유용노동은 생산력의 상승 또는 저하에 직접 비례하여 더욱 풍부한 또는 더욱 빈약한 생산물의 원천이 된다."
14.3
(SS) Since productive power is an attribute of the concrete useful forms of labour, of course it can no longer have any bearing on that labour, so soon as we make abstraction from those concrete useful forms.
(BF) As productivity is an attribute of labour in its concrete useful form, it naturally ceases to have any bearing on that labour as soon as we abstract from its concrete useful form.
(DK) Da die Produktivkraft der konkreten nützlichen Form der Arbeit angehört, kann sie natürlich die Arbeit nicht mehr berühren, sobald von ihrer konkreten nützlichen Form abstrahiert wird.
강 교수는 영어로 "as soon as ..."에 해당하는 sobald를 "... 하면"으로 번역했다. "von ihrer konkreten nützlichen Form abstrahiert wird"에서 "구체적인 유용형태(ihrer konkreten nützlichen Form)"가 없어지는 것은 문맥상 '노동력(Produktivkraft)'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독일어 동사 'berühren'는 영어로 'touch' 즉, '관계를 맺다'를 뜻하는데, 강 교수는 '영향을 미친다'로 번역했다. 재번역하면 다음과 같다. "생산력은 노동의 구체적 유용형태에 속하므로 (생산력에서) 구체적인 유용형태가 제거되자마자 그것은 노동과 더이상 관계를 맺을 수 없다."
14.4
(SS) But it will yield, during equal periods of time, different quantities of values in use; more, if the productive power rise, fewer, if it fall.
(BF) But it provides different quantities of use-values during equal periods of time; more, if productivity rise; fewer, if it falls.
(DK) Aber sie liefert in demselben Zeitraum verschiedene Quanta Gebrauchswerte, mehr, wenn die Produktivkraft steigt, weniger, wenn sie sinkt.
DK의 한 문장을 강 교수는 두 문장으로 나눠 번역했다. "그러나 이 노동은 같은 시간 동안에 서로 다른 양의 사용가치를 산출하는데, 생산력이 커지면 좀 더 많은 사용가치를 산출하고, 생산력이 낮아지면 좀 더 적은 사용가치를 산출한다."
14.5
(SS) The same change in productive power, which increases the fruitfulness of labour, and, in consequence, the quantity of use values produced by that labour, will diminish the total value of this increased quantity of use values, provided such change shorten the total labour time necessary for their production; and vice versâ.
(BF) For this reason, the same change in productivity which increases the fruitfulness of labour, and therefore the amount of use-values produced by it, also brings about a reduction in the value of this increased total amount, if it cuts down the total amount of labour-time necessary to produce the use-values. The converse also holds.
Derselbe Wechsel der Produktivkraft, der die Fruchtbarkeit der Arbeit und daher die Masse der von ihr gelieferten Gebrauchswerte vermehrt, vermindert also die Wertgröße dieser vermehrten Gesamtmasse, wenn er die Summe der zu ihrer Produktion notwendigen Arbeitszeit abkürzt. Ebenso umgekehrt.
강 교수의 번역은 어딘가 이상하다. DK가 특별히 강조 구문이 아님에도 번역은 "생산력 변동"을 강조하는 그런 식으로 해놨다. 어쨌든 재번역하면 다음과 같다. "노동 생산성과 곧이어 노동이 제공하는 사용가치 양을 증가시키는 생산력의 이러한 변동은 만일 그것이 생산에 필요한 노동시간의 총계를 단축할 때면 이 증대된 총량의 가치크기를 감소시키며, 그 역은 반대가 된다."

모든 노동은 한편으로 생리학적 의미에서의 인간노동력의 지출이며, 이 동일한 인간노동 또는 추상적 인간노동이라는 속성을 통해서 그것은 상품가치를 형성한다. 또 다른 한편으로 모든 노동은 특수한 목적이 정해진 형태로서의 인간노동력의 지출이고, 이 구체적인 유용노동이라는 속성을 통해서 그 노동은 사용가치를 생산한다. 16) [15.1]

15.1
(SS) On the other hand, all labour is the expenditure of human labour power in a special form and with a definite aim, and in this, its character of concrete useful labour, it produces use values.
(BF) On the other hand, all labour is an expenditure of human labour-power in a particular form and with a definite aim, and it is in this quality of being concrete useful labour that it produces use-values.
(DK) Alle Arbeit ist andrerseits Verausgabung menschlicher Arbeitskraft in besondrer zweckbestimmter Form, und in dieser Eigenschaft konkreter nützlicher Arbeit produziert sie Gebrauchswerte.

<주석>

12) 앞의 책. 12~13쪽 이하.




13) "Tutti i fenomeni dell’universo, sieno essi prodotti della mano dell’uomo, ovvero delle universali leggi della fisica, non ci danno idea di attuale creazione, ma unicamente di una modificazione della materia. Accostare e separare sono gli unici elementi che l’ingegno umano ritrova analizzando l’idea della riproduzione: e tanto e riproduzione di valore (value in use, although Verri in this passage of his controversy with the Physiocrats is not himself quite certain of the kind of value he is speaking of) e di ricchezze se la terra, l’aria e l’acqua ne’ campi si trasmutino in grano, come se colla mano dell’uomo il glutine di un insetto si trasmuti in velluto ovvero alcuni pezzetti di metalio si organizzino a formare una ripetizione." "세상의 모든 현상은 그것이 인간의 손으로 이루어졌든 물리학의 일반법칙에 의해서 이루어졌든, 사실 창조라기보다는 다만 소재의 변형에 지나지 않는다. 결합과 분리는 인간정신이 재생산이라는 표상(Vorstellung)의 분석에서 끊임없이 반복적으로 찾아내는 유일한 요소이다. 이것은 가치(사용가치를 말한다. 그러나 중농주의자들과의 이 논쟁에서 베리는 자기가 어떤 종류의 가치를 말하는지 스스로도 모르고 있다)나 부의 재생산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즉 토지나 공기와 물이 밭에서 곡식으로 바뀌는 경우이건 누에의 배설물이 인간의 손에 의해 명주실로 바뀌는 경우이건, 또는 몇 개의 작은 금속조각이 모여 시각을 알리는 시계로 조립되는 경우이건 이것은 언제나 적용되는 이야기인 것이다." (베리[Pietro Verri], 『경제학 고찰』(Meditazioni sulla Economia Politica), 초판, 1771, 쿠스토디(Custodi) 엮음. 『이탈리아 경제학 고전 전집』(Custodi’s edition of the Italian Economists), 근세편(Parte Moderna), 제15권, 21~22쪽).




14) 헤겔(G. W. F. Hegel), 『법철학』(Philosophie des Rechts), 베를린, 1840, 250쪽, 제190절 참조.




15) 독자가 주의해야 할 점은, 여기서 말하는 가치는 1노동일(Arbeitstag)에 대하여 노동자가 받는 임금(Arbeitslohn)이나 가치가 아니라 그의 노동일이 대상화된 상품가치라는 사실이다. 임금이라는 범주는 이 단계의 서술에서는 아직 존재하지 않는다.




16) 제2판의 주: "오직 노동만이 모든 시대에 모든 상품의 가치를 평가하고 비교할 수 있는 궁극적이고 진정한 척도라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애덤 스미스(Adam Smith)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같은 양의 노동은 언제 어디서든지 노동자 자신에게 동일한 가치를 갖지 않으면 안 된다. 그의 건강이나 체력 또는 활동이 정상상태이고, 또 그가 갖고 있는 숙련이 평균 수준을 유지할 때, 그는 늘 자신의 휴식•자유•행복을 똑같은(노동이 이루어진 만큼-옮긴이) 양으로 희생시켜야만 한다." ("Equal quantities of labour must at all times and in all places have the same value for the labourer. In his normal state of health, strength, and activity, and with the average degree of skill that he may possess, he must always give up the same portion of his rest his freedom, and his happiness.") (애덤 스미스, 『국부론』, 제1편, 제5장[104~105쪽]). 스미스는 여기에서(모든 곳에서는 아니지만) 한편으로는 상품의 생산에 지출된 노동량에 의한 가치의 규정을 노동가치에 의한 상품가치의 규정과 혼동하고 있으며, 따라서 같은 양의 노동은 언제나 같은 가치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려고 한다.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그는, 또 상품의 가치로 나타나는 한, 노동은 노동력의 지출로 간주될 뿐이라는 것을 어렴풋이 알아차리지만 다시 그 지출을 휴식이나 자유 또는 행복의 희생으로만 생각하고 정상적인 생명활동으로는 생각하지 않는다. 물론 그는 근대적인 임노동자를 눈으로 보면서도 그렇게 하였다. — 주9에서 인용한 애덤 스미스의 익명의 선배는 훨씬 더 적절하게 다음과 같이 말한다. "어떤 사람이 1주일 동안 생활필수품을 만들었다. ... 그리고 그와 물건을 교환하려는 사람이 가장 정확하게 그것의 등가물을 계산할 수 있는 방법은 자신이 똑같은 노동과 시간을 들인 물건이 무엇인가를 따지는 것 말고는 없다. 사실 이것은 일정 시간 동안 어떤 사람이 어떤 물건에 소비한 노동과 같은 시간 동안 다른 물건에 소비한 다른 사람의 노동을 맞바꾸는 것을 뜻한다." ("one man has employed himself a week in providing this necessary of life ... and he that gives him some other in exchange cannot make a better estimate of what is a proper equivalent, than by computing what cost him just as much labour and time which in effect is no more than exchanging one man’s labour in one thing for a time certain, for another man’s labour in another thing for the same time.") (『금리 일반, 특히 공채이자에 관한 고찰』, 39쪽), {제4판의 주: 영어는 여기에서 고려하는 노동의 두 측면에 대해 각기 다른 말을 갖는다는 장점이 있다. 사용가치를 만들어내고 질적으로 규정되는 노동은 'work'로 'labour'와는 구별되고, 가치를 만들어내고 양적으로 측정되는 노동은 'labour'로 'work'와 다시 구별된다. — 영어판의 14쪽 주를 보라. — 엥겔스} [N6.1]

N6.1
BF에는 엥겔스의 주석에 대한 코멘트가 나와 있다. 대략 다음과 같다. "엥겔스의 말이 항상 들어맞지는 않는다. 그럼에도 가능한 엥겔스의 기준에 맞추려고 노력했다.” ("Unfortunately, English usage does not always correspond to Engel's distinction. We have tried to adopt it where possible.")



Posted by metas :